【매일 투고】 금강석의 우울 (다이아 편) 잘못 보낸 상황, 다이아 편입니다. 이번에도 덤이라는 이름의 사족을 댓글란에 달아두겠습니다. 알콩달콩한 징크스에는 "부서지지 않았네요…♡"라고 말해줬으면 하는 개념. -【毎日19時投稿】だいだらぼっち@ウマ娘LINEトーク画面風怪文書, 2022년 10월 18일 게재 - 출처: https://twitter.com/UMA_LINE666/status/1582367436992806913 |
금강석의 우울 (다이아 편)
덤: 【부서지지 않은 징크스】
오늘의 작업물 : 사토노 다이아몬드의 징크스
※ 이하는 각주노트
1) 사토노 다이아몬드의 징크스 사진
- 사토노 다이아몬드가 올린 2장의 사진은 우선 무료 그래픽 편집 사이트인 'theinpaint.com'에서 글씨를 지운 후 한글 글꼴로 내용을 수정한 사진입니다. 사진에 사용된 글꼴은 '나눔손글씨 배은혜체'가 사용되었습니다.
2) 【부서지지 않은 징크스】편 프로필 사진
- 가능하면 원 게시물의 사진을 확인 후 사용하고 있지만, 개인적 능력의 한계로 원문과 같은 사진을 찾지 못했습니다. 그렇기에 광물 정보 사이트인 'Rock Identifier'에서 다이아몬드 사진을 사용하였습니다. 양해 구합니다.
- 참고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.: "다이아몬드", Rock Identifier, 2023년 01월 30일 접속, https://rockidentifier.com/ko/wiki/Diamond_gemstone.html.
3) 【부서지지 않은 징크스】 편 22:28 - 쿠즈오의 "칫... 니 머꼬! 갈시하지 마라!"
- 원문의 대사는 "チッ···おいなんだよ!シカトすんなや!"로 저 또한 일본어 방언에 관한 지식이 없었으므로 잠시 인터넷에서 검색해봤습니다.
- 웨블리오 사전(Weblio辞書): 본문의 'すんな'에 대하여 일본의 사전 사이트 '웨블리오 사전'은 이를 다이벤(仙台弁)으로 설명한 뒤, 의미와 용례에서 이것이 '~するな'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.
- 야후 지혜주머니: 본문의 'なや'에 대하여서는 우리나라의 네이버 지식in과 같은 야후 지혜주머니에서 확인해보았는데, 주부 지방(中国地方)의 사투리 또는 도사벤(土佐弁)으로 언급하고 있어 이것이 사투리임을 확인하였습니다. 덧붙여 이에 대하여 '~しなや'와 같은 의미라고 언급하였습니다.
- 『순간의 일본어 편리장(とっさの日本語便利帳)』: 'シカト'에 대해서는 2003년 아사히신문사출판발행에서 발행된 『순간의 일본어 편리장』에서 이르기를 이를 '무시' 또는 '따돌림'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. 이 자료의 원문을 확인하여야 하지만 원 책을 구할 수 없어 부득이하게 일본의 백과사전 사이트 코토방크(コトバンク)에서 확인하였습니다.
- 전체를 고민해보았을 때, 이것이 '무시 하지 마라'는 의미에 해당함을 확인하였습니다. 다만 우리나라의 어느 지방 사투리로 현지화하는 게 적절한 지 알 수 없었습니다. 그렇기에 남부 동남 방언으로 번역한 이후 부산 사투리 중 무시하다에 해당하는 '갈시하다'를 사용하여 '갈시하지 마라!'로 번역하였습니다. 오역을 하였다면 제 능력 부족인지라 겸허히 받아들이겠습니다.
4) [보론] 남부 동남 방언에 관하여
- 남부 동남 방언 관련 자료는 타마모 크로스 편을 번역하기 위해 모아둔 일부 자료를 사용하였습니다. 다만 저 또한 남부 동남 방언에 익숙하더라도 오해를 사지 않고자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있습니다.
- '부산말사전': 남부 동남 방언은 기본적으로 경상남도 지방 전체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. 그러나 모든 방언의 예시를 찾기가 어려워 기본적으로 그 차이를 부득이하게 무시하고 '부산 사투리'를 중심으로 남부 동남 방언을 번역하고 있습니다. 이 과정에서 국제신문이 운영하는 '부산말사전' 사이트를 참고하였습니다. 전반적인 문학작품의 예시가 많아 유용한 사이트입니다.
- 네이버 지식백과의 『방언학 사전』: 남부 동남 방언의 문법을 잘못 사용하면 삽시간에 쓰레기로 몰릴 수 있음을 잘 알고 있습니다. 그렇기에 그 오해를 사고 싶지 않아 문법의 예시를 찾아보았습니다. 이 과정에서 네이버 지식백과가 제공하는 『방언학 사전』을 참고하였습니다. 덧붙여 남부 동남 방언이라는 용어 또한 이 사전에서 언급된 용어입니다.
- 『2006년 경남 지역어 조사 보고서』: 가능하면 부산의 지역어 조사 보고서를 확인하고 싶었으나 그 사례를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. 그러다보니 부득이하게 2006년 김정대 선생님과 박근배 선생님이 공동으로 하동에서 채록한 자료를 읽고 사용하였습니다. 실제 발음이나 문법을 확인할 수 있어 유용하였습니다.
5) 참고문헌
- 일본어 '~すんな'; "~すんな", Weblio辞書, 2023년 01월 30일 접속, https://www.weblio.jp/content/%E3%81%99%E3%82%93%E3%81%AA
- 일본어 'なや'; "○○すんなや、とか 見んなや、の "なや"って方言じゃないですよね?", yahoo!知恵袋, 2017년 11월 23일 작성, 2023년 01월 30일 접속, https://detail.chiebukuro.yahoo.co.jp/qa/question_detail/q12182408332
- 일본어 'シカト'; "シカト", コトバンク, 2023년 01월 30일 접속, https://kotobank.jp/word/%E3%82%B7%E3%82%AB%E3%83%88-898732
- 부산 단어 참고; "부산말사전", 국제신문, 2023년 01월 30일 접속, http://www.kookje.co.kr/page/busanmal/
- 남부 동남 방언 문법 참고; "남부 동남 방언", 방언학 사전 [네이버 지식백과], 2023년 01월 30일 접속, https://terms.naver.com/entry.naver?docId=977126&cid=41817&categoryId=41817
- 실제 채록 사례 확인; 김정대, 박근배, 『2006년 경남 지역어 조사 보고서』, 서울, 국립국어원, 2006.
'【毎日19時投稿】だいだらぼっち@ウマ娘LINEトーク画面風怪文書 > 담당에게 잘못 보내 버렸다... (完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어른스러운 아이의 우울 (마야노 편) (0) | 2023.03.20 |
---|---|
야마토 나데시코의 우울 (그래스 편) (0) | 2023.03.19 |
명배우의 우울 (맥 편) (0) | 2023.03.19 |
칠흑의 우울 (카페 편) (0) | 2023.03.19 |
하얀 번개의 우울 (타마 편) (4) | 2023.03.19 |